linux
linux service별 기본 log 저장 경로 변경 및 로그 적재 기간 설정

linux service별 기본 log 저장 경로 변경 및 로그 적재 기간 설정

/var/log/message가 너무 혼잡하다 로그를 분리하자!

리눅스에 직접 만들 서비스들을 등록할 경우 별도로 log 경로를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var/log/message 경로에 쌓이게 됩니다.

이럴 경우 서비스가 많아질수록 내용이 난잡해져서 log을 읽기가 어려워집니다.

이때 서비스별로 별도의 log파일 을 갖도록 분리해주면 좋습니다.


분리할 서비스의 .service 파일 수정

방법이 systemd 버전이 240 이상이냐 아니냐에 따라서 분리됩니다.

systemd version 240 이상

systemd version 240에 아래와 같은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 https://github.com/systemd/systemd/blob/main/NEWS
CHANGES WITH 240:
        * StandardOutput=/StandardError= in service files gained support for
        new "append:…" parameters, for connecting STDOUT/STDERR of a service
        to a file, and appending to it.

StandardOutput 과 StandardError

StandardOutput

서비스에서 표준출력 하는 메세지들을 어떤 파일로 내보낼지 지정할 수 있습니다.

[Service]
StandardOutput=append:/var/log/myapp.log
StandardError

서비스에서 표준에러 로 출력되는 메세지들을 어떤 파일로 내보낼지 지정할 수 있습니다.

[Service]
StandardError=append:/var/log/myapp.log

위와 같이 .service 파일을 수정하고 나서 system daemon 을 리로드 해줘야합니다.

sudo systemctl daemon-reload

systemd version 240 미만

rsyslog expression-based filter

systemd 가 못해주니 rsyslogexpression-based filter 를 이용하여 특정 서비스들에 대해 filter를 걸 수 있습니다.

  • /etc/systemd/system/특정 서비스.service 파일을 열람합니다. 아래 내용을 반영합니다
StandardOutput=syslog
StandardError=syslog
SyslogIdentifier=<your program identifier>
  • sudo systemctl daemon-reload 로 서비스 데몬을 리프레시 합니다.
  • /etc/rsyslog.d/new_file.conf 와 같이 새로운 파일을 생성해 줍니다.
  • new_file.conf 열람하여 아래 내용을 추가합니다
// programname 이 your program identifier 와 같다면 별도의 로그파일에 로그를 출력합니다.
if $programname == '<your program identifier>' then /var/log/myapp.log & stop
  • sudo systemctl restart rsyslog 로 rsyslog 서비스를 재실행합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아래를 참고해주시 바랍니다.

stackoverflow - systemd 서비스의 출력을 파일로 리디렉션하는 방법 (opens in a new tab) RSyslog Documentation (opens in a new tab)

로그를 그냥 안남기고 싶을 경우

실제로 log 자체를 안남기고 싶을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아래와 같이 null 로 처리해주면됩니다.

그러면 마치 bash script 에서 표준 출력 표준 에러 무시 echo $variable > /dev/null 2>&1 와 같이 동작합니다.

[Service]
StandardError=null
StandardOutput=null

logrotate 를 이용한 로그 적재 기간 설정

service 파일을 수정해서 별도의 log파일을 만들었습니다. 문제는 해당 파일에 로그가 계속해서 쌓이게되면 언젠가 대용량 로그파일이 되버리고 시스템의 리소스를 다 잡아먹겠죠?

이걸 방지하기 위하여 적재 기간 설정을 해줘야합니다.

이때 사용되는게 logrotate 입니다.

기본적으로 리눅스 배포판들에는 다 설치되어있습니다.

사용법 예시

  1. /etc/logrotate.d/ 경로를 들어갑니다.
  2. 해당 디렉토리 내부에 myapp 이라는 파일을 생성하고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var/log/myapp.log {
    daily
    rotate 7
    compress
    missingok
    notifempty
    create 0644 root root
}
  • daily : 일별로 백업, 매일 새로운 로그파일 생성
  • rotate : 로그파일을 최대 7개 까지 보관, 7일 이전의 파일은 삭제
  • compress : 압축하여 보관 (gzip)
  • missingok : 로그파일이 존재하지 않아도 에러 발생하지 않음
  • notifempty : 로그 파일이 비어있을 경우 회전하지 않음
  • create 0644 root root : 새로운 로그 파일을 생성할 때, 권한을 0644로 설정하고, 소유자를 root로 설정

위 설정은 myapp.log 파일을 일별로 백업하고, 최대 7개까지 보관하며 압축합니다. 또한, 로그 파일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오류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로그 파일이 비어 있을 때는 백업하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로그 파일을 생성할 때 권한을 0644로 설정하고, 소유자와 그룹을 root로 설정합니다.

주의! 신규 생성된 로그 파일에 안써지고 구 백업 로그 파일에 계속해서 쓰는 현상 발생

여기서 주의해야할 점이 존재합니다.

신규로 log파일을 생성하는 것은 아래와 같은 절차를 거칩니다.

  1. 기존 로그 파일 이름을 백업 파일로 변경
  2. 신규 파일 생성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동작하고 있는 서비스는 여전히 이름만 바뀐 백업 파일을 Open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i-node 번호 가 그대로라 이름이 바뀌어도 계속해서 open하고있던 파일에 로그를 적재하게 됩니다.

잠깐! Open하고 있는 파일 이름 변경이 가능한가?

windows 와 달리 linux는 가능합니다 그래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곤 합니다.

잠깐! i-node란?

간단하게 말하면 파일 테이블이라고 생각하면됩니다. 파일 디스크립터가 i-node를 참조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새로 만들어진 로그 파일을 사용하게 만드려면 서비스 재시작 또는 copytruncate, USR signal를 사용해야합니다

서비스 재시작

말 그대로 서비스 재시작입니다.

보통은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copytruncate

logrotate 설정중 하나입니다.

기존에 동작하던 rotate 방식과는 달리 아래와 같이 동작합니다

  1. 임시 로그 파일을 만듭니다.
  2. 임시 로그 파일의 이름을 백업 로그 파일 이름으로 바꿉니다.
  3. 원본 로그 파일의 내용을 임시 로그 파일(백업 로그 파일로 이름이 바뀐)에 복사합니다
  4. 원본 로그 파일의 내용을 지웁니다

이렇게 하면 i-node 번호 가 그대로여도 백업이 정상적으로 이뤄집니다

copytruncate 사용시 주의!!

기존 log파일에서 tempfile로의 데이터 복사 가 이뤄집니다. 복사라는 작업은 원본 데이터에 따라 I/O가 크게 발생할 수 있는 작업이며 저장장치에 대한 I/O는 굉장히 느린 편입니다.

만약 원본 데이터가 대용량이면 Copy중간에 새로운 데이터가 들어왔을 때 새로운 데이터는 복사되지 않고 원본 로그 파일의 내용을 지울때 같이 날아갈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원본 로그 파일이 너무 커지지않도록 주의해야합니다.

USR Signal

애플리케이션들이 제공하는 USR Signal 로 해당 서비스에 log파일이 변경되었으니 파일을 다시 열람하세요 라는 신호를 주는 것 입니다.

대부분의 오픈소스 애플리케이션들 해당 signal을 재공합니다.

아래는 signal사용의 예시입니다.

/var/log/nginx/*.log {
        daily
        missingok
        rotate 52
        compress
        delaycompress
        notifempty
        create 640 nginx adm
        sharedscripts
        postrotate
                if [ -f /var/run/nginx.pid ]; then
                        kill -USR1 `cat /var/run/nginx.pid`
                fi
        endscript
}

잠깐! 직업 만든 서비스의 경우 signal 로직을 구현하지 않으면 사용불가능!

당연한 말이지만.. 본인이 만든 소스코드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서비스의 경우 signal에 대한 로직을 만들어 놓지 않으면 signal을 이용한 방식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위에서 사용된 설정을 포함하여 더 많은 logrotate 설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logrotate 설정 옵션 list

  • compress : 로그 파일을 압축합니다.
  • uncompress : 로그 파일의 압축을 푸릅니다.
  • compresscmd : 로그 파일을 압축하기 위한 명령어를 정의합니다.
  • uncompresscmd : 로그 파일의 압축을 푸는 명령어를 정의합니다.
  • compressoptions : 압축 옵션을 지정합니다.
  • copy : 로그 파일을 복사합니다.
  • copytruncate : 로그 파일을 복사한 후, 원본 로그 파일을 비워줍니다.
  • create : 새로운 로그 파일을 생성합니다.
  • daily : 로그 파일을 일별로 회전합니다.
  • dateext : 로그 파일 이름에 날짜를 추가합니다.
  • delaycompress : 로그 파일을 압축하지 않고 한 번 더 회전합니다.
  • extension : 로그 파일의 확장자를 지정합니다.
  • ifempty : 로그 파일이 비어있을 경우에도 회전합니다.
  • mail : 로그 파일을 메일로 전송합니다.
  • mailfirst : 로그 파일을 메일로 전송한 후에 회전합니다.
  • maillast : 로그 파일을 회전한 후에 메일로 전송합니다.
  • missingok : 로그 파일이 존재하지 않아도 오류를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 monthly : 로그 파일을 월별로 회전합니다.
  • nocompress : 로그 파일을 압축하지 않습니다.
  • nocopy : 로그 파일을 복사하지 않습니다.
  • nocreate : 새로운 로그 파일을 생성하지 않습니다.
  • nodelaycompress : 로그 파일을 바로 압축합니다.
  • nomail : 로그 파일을 메일로 전송하지 않습니다.
  • nomissingok : 로그 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오류를 발생시킵니다.
  • notifempty : 로그 파일이 비어있을 경우 회전하지 않습니다.
  • olddir : 회전된 로그 파일을 저장할 디렉토리를 지정합니다.
  • postrotate : 로그 파일 회전 이후에 실행할 명령어를 정의합니다.
  • prerotate : 로그 파일 회전 이전에 실행할 명령어를 정의합니다.
  • daily : 로그 파일을 일별로 회전합니다.
  • rotate : 로그 파일을 최대 몇 개까지 보관할지 지정합니다.
  • sharedscripts : postrotate, prerotate에 지정된 명령어를 한 번만 실행합니다.
  • size : 로그 파일의 크기가 지정한 크기를 넘으면 회전합니다.
  • start : 로그 파일 회전을 시작할 순서를 지정합니다.
  • weekly : 로그 파일을 주간으로 회전합니다.

참고 자료